[제주, 세계가 반한 아름다운 섬]
제주, 세계가 반한 아름다운 섬(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관광]
제주, 관광을 시작하다!(제주 스타즈 호텔 조형물)
[관광]
제주버스터미널 앞 조형물
사라봉(영주 10경 사봉낙조, 망양정에서 바라본 제주항 방향 전경)
조천만세동산
제주도민속자연사박믈관
산굼부리에서 바라본 억새,오름,한라산 전경
서귀포 제주월드컵경기장
법환바당 잠녀상과 범섬
황우지 선녀탕
제주 천지연폭포 태우(이 떼배(일명: 테배, 테우, 터위)는 오랜 옛날부터 고기잡이, 해조류 채취등에 이용되었던 우리나라 전통 전래 원시형태의 배로써 지금은 제주도에만 남아있다. 유일하게 이 떼배의 조형은 선사시대 이후 한반도를 통해 제주와 일본열도에 문화전래 수단으로 이용되어졌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새섬에서 바라본 문섬
제주 강정동 내길이소
천제연 제1폭포
천제연 제2폭포
천제연 제3폭포
성읍민속마을 통시(돌로 낮게 울타리를 둘러 쌓아 만든 돼지우리 겸 화장실)
제주 서귀포 산방산 산방굴(한국의 명수 100선 산방굴사약수)
한국의 아름다운길 100선 사계해안길과 산방산
이중섭 미술관 소의 말, 이중섭
이중섭 미술관 황소인상, 유종욱(이 작품은 이중섭의 <황소>그림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입체화한 것으로 한국인의 역동적이고도 강인한 정신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엉또폭포
송악산에서 바라본 산방산과 형제섬
송악산 말과 산방산
섯알오름 양민학살터
파랑새(<파랑새>는 쪼갠 대나무를 엮어 만든 9m 높이의 대형 조형물이다. 파랑새를 안고 있는 소녀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작가가 이용하는 대나무는 동학 농민군들이 사용했던 죽창에서 영감을 얻은 재료지만, 그가 표현한 인간상은 둥글고 긴 원통형으로 겸손한 자세를 취하며, 알뜨르비행장의 풍경, 바람과 조우하며 평화의 메세지를 전달한다. - 최평곤)
서귀포시 도로원표
소천지
섭지코지 말과 성산일출봉
섭지코지 선녀바위
다랑쉬오름
아끈다랑쉬오름
다랑쉬오름의 경관
사려니 숲길
국립제주박물관
삼별초의 식수 구시물
살맞은돌
장수물(장수물은 여몽연합군과 공방전이 벌어졌을 때 김통정 장군이 토성 위에서 뛰어내려 생긴 발자국에서 솟아난 물이라고 한다.)
제주 한라산 극락사
제주 한라산 극락사 보성스님이 주신 보리수 잎
옹성물(옹성물은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부근에 있는 극락사 한편에 있는데, 옹성물은 귀족들이, 성안의 구시물은 병사들이 마셨다고 한다.)
한국의 명수 100선 애월마을 하물
애월 도대
곽지해수욕장 과물.석경감수
협재해수욕장과 비양도
산방산과 한라산
마라도에서 바라본 전경(산방산,송악산,한라산)
이호테우해수욕장의 일몰
이호테우해수욕장 바닷물이 만든 작품
고양이와 이호테우해수욕장 등대
제주 한라산 관음사 사천왕문에서 바라본 일주문
부처님에게 가는 길, 사천왕문에서 바라본 일주문
제주 한라산 관음사 전경
기도하는 불자,미륵대불과 불상들
제주한란전시관에서 바라본 한라산
우도해녀항일운동기념비
비양도에서 바라본 우도
우도 검멀리해안 동안경굴
우도봉에서 바라본 성산일출봉,천진항 전경
우도봉 말과 천진항 방향 전경
설문대할망 소망항아리(백록담)상과 우도봉등대
제주시수협공판장 경매
산지천 조천석 제사터
온평리 해녀상
비양도
비양도 비양나무
비양도에서 바라본 한립읍과 한라산 방향 전경
펄랑못과 비양봉
비양봉 분화구
한림읍과 한라산,비양봉 정상 등대
제주 동문수산시장 마스코트 옥도령
제주 동문수산시장 마스코트 옥순이
제주 동문시장 물허벅 맨 여인상
'멋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석구석 제주도(에필로그) (0) | 2020.10.02 |
---|---|
구석구석 제주도(여행) (0) | 2020.10.02 |
구석구석 제주도(프롤로그) (0) | 202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