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세계가 반한 아름다운 섬]
제주, 세계가 반한 아름다운 섬(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여행]
제주, 여행을 시작하다!(제주 스타즈 호텔 조형물)
[세계자연유산]
UNESCO 세계자연유산
제주도는 동서로 약 73㎞, 남북으로 31㎞인 타원형 모양의 화산섬으로, 섬 중심부에 높이 1,950m의 한라산이 우뚝 솟아 있다.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제주도는 섬 전체가 '화산 박물관'이라 할 만큼 다양하고 독특한 화산 지형을 자랑한다. 땅 위에는 크고 작은 368개 오름(소규모 화산체를 뜻하는 제주어)이 펼쳐져 있고, 땅 아래에는 160여 개의 용암동굴이 섬 전역에 흩어져 있는데, 작은 섬 하나에 이렇게 많은 오름과 동굴이 있는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물다.
이러한 제주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 6월 세계유산위원회의 만장일치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로써 제주는 2002년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시작으로 2007년 세계자연유산 등재, 2010년 세계지질공원 인증까지 UNESCO 3관왕을 달성한 것이다.
세계유산위원회의 만장일치로 결정된 아름다운 제주
유네스코는 1972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보호협약'을 채택하고, 인류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문화와 자연이 특별히 뛰어난 지역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시작했다. 세계유산은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구분되며, 2016년 기준 165개국 1,052건(문화유산 814점, 자연유산 203점, 복합유산 35점)이 등재되었다. 제주도는 2007년 우리나라 최초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으며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 3개 지구로 제주도 전체 면적의 약 10%를 차지한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에 담긴 비화
유네스코에 이미 전세계 화산지역이 35개 지역이 등록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네스코에서는 더 이상 화산지역을 지정하지 않기로 결의되어 있었다.
하지만 유네스코에 등록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있었다. 바로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은 처녀동굴이 발견되면 등록할 수 있는 것이었다.
유네스코 심사단이 제주도를 찾은 그날 전신주 공사 중 땅이 꺼지는 사건이 발생했고, 그곳에서 용천동굴이 발견되었다. 그 용천동굴로 인해
'유네스코'에 등록될 수 있었다.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제 31차 총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 심사위원이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한다."앞으로 화산과 용암동굴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하려면 제주도와 비교하라"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은 지방기념물로 관리하다 2000년 7월 19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빼어난 경관과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 7월 2일 UNESCO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 또한 2010년 10월에는 UNESCO 세계지질공원에 인증되었고, 2011년도 대한민국 자연생태관광 으뜸명소, 2012년 12월 한국관광 기네스 12선에도 선정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세계지질공원,천연기념물 성산일출봉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 오르며 바라본 광치기해변,성산마을 전경
성산일출봉 정상 분화구
광치기 해변 말과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먹거리
"푸른 바다 위 우뚝 솟은 성곽" [천연기념물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城山日出峰 天然保護區域)] 성산 일출봉 천연보호구역은 제주도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출봉 전체와 1㎞
barongl.tistory.com
[한라산]
지리산, 북한의 금강산과 함께 한반도의 3대 영산에 속하는 한라산은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이 해발 1,950m로 남한에서 가장 높다.
다양한 식생 분포를 이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고 동식물의 보고로서, 1966년 10월 12일 천연기념물 제182호인 한라산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1970년 3월 24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2년 12월에는 UNESCO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정상 백록담 표석
대한민국 명승 한라산 백록담
"제주 한라산 백록담"
제주 한라산 백록담&먹거리
"흰사슴이 노닌, 한국 가장 높은 산정화구호" [명승 제90호 한라산 백록담] 한라산 백록담(漢拏山 白鹿潭)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정화구호로 침식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순상화산의 원지형
barongl.tistory.com
대한민국 명승 한라산 선작지왓
"제주 한라산 선작지왓"
제주 한라산 선작지왓&먹거리
"한라산 신선들의 정원" [명승 제91호 한라산(漢拏山) 선작지왓] 한라산 선작지왓은 털진달래, 산철쭉을 비롯한 낮은 관목류가 널리 분포하며, 4월부터 6월까지 털진달래의 연분홍색과 산철쭉의
barongl.tistory.com
대한민국 명승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제주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제주 영실기암과 오백나한&먹거리
"신선들이 사는 한라산 성소" [명승 제84호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영실기암(靈室奇岩)은 한라산을 대표하는 곳이며 영주십이경 중 하나로 춘화, 녹음, 단풍, 설경 등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모습과
barongl.tistory.com
"제주 한라산 사라오름"
제주 한라산 사라오름&먹거리
"호수와 경관을 품은, 가장 높은 오름" [명승 제83호 사라오름] 사라오름은 한라산 동북사면 성판악 등산로 근처에 있으며, 오름 정상부에 둘레 약 250m의 분화구에 물이 고여 습원을 이루는 산정
barongl.tistory.com
[거문오름용암동굴계]
거문오름은 해발 456m(둘레 4,551m)의 오름으로 거문오름용암동굴계를 형성한 모체로 알려져 있다. 숲이 우거져 검게 보여 검은오름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제주도의 오름 중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는데, 이는 거문오름에서 흘러나온 용암류가 경사를 따라 북동쪽 해안가까지 흘러가면서 지질학적 가치가 높은 화산지형과 용암동굴을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제주도 자연유산지구 학술조사용역결과에 따르면 선흘리 거문오름 주변에 발달한 동굴의 규모는 용암동굴로서는 세계적인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글 출처:VISIT JEJU, 사진:바롱이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거문오름 탐방안내소
거문오름 분화구
천연기념물 제주 만장굴
[대한민국 문화유산]
보물 제주 관덕정
민속문화재 용화사 서자복과 동자석
민속문화재 동자복
시도기념물 용연
시도기념물 용두암
사적 제주 삼성혈
시도기념물 삼사석비
시도기념물 삼사석
시도기념물 제주성지
시도기념물 오현단
보물 제주 원당사지 오층석탑
사적 제주 삼양동 유적
천연기념물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먹거리
"우리나라 유일의 천연기념물 귤나무류" [천연기념물 제523호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濟州 道蓮洞 橘나무류)]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주에서 재배되어 온 제주 귤의 원형을 짐작할 수 있어 생물학
barongl.tistory.com
시도기념물 조천진성과 시도유형문화재 연북정
시도기념물 혼인지
시도기념물 온평환해장성과 황노알
천연기념물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
천연기념물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민속문화재 송당본향당
시도유형문화재 귤수수조(제주인을 대상으로 그린 그림 중 현존하는 最古의 초상화로서 조선후기 제주인의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시도기념물 한라산신제단
천연기념물 제주 산천단 곰솔 군
"제주 산천단 곰솔 군"
제주 산천단 곰솔 군&먹거리
"하늘의 신이 내려오는 통로" [천연기념물 제160호 제주 산천단 곰솔 군] 곰솔은 소나무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고, 소나무의 겨울눈은 붉은색인데 반해 곰솔은 회백색인 것이 특징이다. 바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천연기념물 제주마 방목지
"제주의 제주마"
제주의 제주마&먹거리
"고수목마(古藪牧馬)" [천연기념물 제347호 제주의 제주마 (濟州의 濟州馬)] 제주마는 흔히 제주도 조랑말이라고 하며, 키가 작아서 과실나무 밑을 지날 수 있는 말이라는 뜻의 ‘과하마(果下馬)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
대한민국 명승 제주 서귀포 외돌개
"제주 서귀포 외돌개"
제주 서귀포 외돌개&먹거리
"할망의 기다림" [명승 제79호 제주 서귀포 외돌개] 외돌개의 높이는 20여m, 폭은 7~10m로 화산이 폭발하여 분출된 용암지대에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돌기둥으로 수직의 해식절벽이 발달한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천지연 난대림
천연기념물 제주 천지연 담팥수 자생지
천연기념물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새연교와 천연기념물 제주 서귀포층 패류화석
대한민국 명승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먹거리
"동양 유일 해안폭포" [명승 제43호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濟州 西歸浦 正房瀑布)」는 한라산 남측 사면으로부터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내리는 애이리내의 남쪽 하단
barongl.tistory.com
대한민국 명승 제주 서귀포 쇠소깍
"제주 서귀포 쇠소깍"
제주 서귀포 쇠소깍&먹걱리
"담수와 해수가 만든 절경" [명승 제78호 제주 서귀포 쇠소깍] 효돈천이 끝나는 하류지역에 있는 쇠소깍은 바다와 맞닿는 곳에 위치하여 담수와 해수가 만나서 만들어진 하천지형으로서, 깊은 수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천연기념물 제주 강정동 담팥수
"제주 강정동 담팥수"
제주 강정동 담팔수&먹거리
"내길이소당(堂)의 신목(神木)" [천연기념물 제544호 제주 강정동 담팔수 (濟州 江汀洞 膽八樹)] 제주 강정천의 ‘내길이소(沼)’ 서남쪽에 있는 ‘내길이소당(堂)’의 신목(神木)으로 오랫동안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중문 · 대포해안 주상절리대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먹거리
"용암이 만든 바다 위 천연 요새" [천연기념물 제443호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濟州 中文·大浦海岸 柱狀節理帶)] 제주중문 ·대포해안주상절리대는 서귀포시 중문동 ·대포동 해안을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천제연 난대림
천연기념물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사적 제주목 관아
시도기념물 해신사
천연기념물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먹거리
"마을을 지켜주는 당산숲" [천연기념물 제161호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濟州 城邑里 느티나무 및 팽나무 群)]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barongl.tistory.com
국가민속문화재 제주 성읍마을
시도유형문화재 제주향교
천연기념물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대한민국 명승 제주 서귀포 산방산
"제주 서귀포 산방산"
제주 서귀포 산방산&먹거리
"제주 3대 영산" [명승 제77호 제주 서귀포 산방산] 산방산은 제주 서남부 지역의 평탄한 지형 위에 우뚝 솟은 타원형의 돔형(dome) 화산으로 한라산, 성산일출봉과 함께 제주의 3대 산으로 불리우
barongl.tistory.com
대한민국 명승 제주 서귀포 산방산과 천연기념물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천연기념물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과 대한민국 명승 제주 서귀포 산방산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먹거리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수성화산" [천연기념물 제526호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濟州 沙溪里 龍머리海岸)] 바닷속 세 개의 화구에서 분출된 화산쇄설물이 쌓여 만들어진 해안으로, 성산일출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사람발자국과 동물발자국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시도기념물 법화사지
등록문화재 제주 송악산 해안 일제 동굴진지
등록문화재 남제주 비행기 격납고
시도기념물 협자연대
사적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천연기념물 제주 납읍리 난대림
천연기념물 제주 한림 용암동굴지대 협재굴
천연기념물 제주 한림 용암동굴지대 쌍룡굴
대한민국 명승 사라오름
"제주 한라산 사라오름"
제주 한라산 사라오름&먹거리
"호수와 경관을 품은, 가장 높은 오름" [명승 제83호 사라오름] 사라오름은 한라산 동북사면 성판악 등산로 근처에 있으며, 오름 정상부에 둘레 약 250m의 분화구에 물이 고여 습원을 이루는 산정
barongl.tistory.com
사라오름 탁족(산정호수 차가운 물에 등산에 지친 발을 담그고 잠시 쉼)
사적 서귀포 김정희 유배지
천연기념물 마라도천연보호구역
마라도 대한민국최남단비
"제주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마라도 천연보호구역&먹거리
"대한민국 최남단 화산섬" [천연기념물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馬羅島 天然保護區域)] 마라도는 우리나라의 가장 남쪽에 있는 섬으로 동서가 짧고 남북이 긴 타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녹고의 눈물(누이를 목놓아 부르는 동생의 눈물)
천연기념물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천연기념물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먹거리
"우리나라 유일 선인장 야생군락" [천연기념물 제429호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濟州 月令里 仙人掌 群落) 선인장이라고 하면 뜨거운 사막을 연상하게 되는데, 사막에 자생하는 것 외에도 종류
barongl.tistory.com
대한민국 명승 영실기암과 오백나한(병풍바위)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제주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제주 영실기암과 오백나한&먹거리
"신선들이 사는 한라산 성소" [명승 제84호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영실기암(靈室奇岩)은 한라산을 대표하는 곳이며 영주십이경 중 하나로 춘화, 녹음, 단풍, 설경 등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모습과
barongl.tistory.com
대한민국 명승 한라산 선작지왓
윗세족은오름 전망대에서 바라본 한라산 정상
"제주 한라산 선작지왓"
제주 한라산 선작지왓&먹거리
"한라산 신선들의 정원" [명승 제91호 한라산(漢拏山) 선작지왓] 한라산 선작지왓은 털진달래, 산철쭉을 비롯한 낮은 관목류가 널리 분포하며, 4월부터 6월까지 털진달래의 연분홍색과 산철쭉의
barongl.tistory.com
시도기념물 관음사의왕벚나무자생지
시도유형문화재 관음사목조관음보살좌상
천연기념물 제주 상효동 한란자생지와 한라산
천연기념물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먹거리
"국내 유일의 홍조단괴 해변" [천연기념물 제438호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 (濟州 牛島 紅藻團塊 海濱)] 제주도 북쪽 해안에는 대부분 패사로 이루어진 사빈 또는 사구들이 여러 지역에 분포하
barongl.tistory.com
민속문화재 골왓마을 방사탑
천연기념물 제주 수산리 곰솔
"제주 수산리 곰솔"
제주 수산리 곰솔&먹거리
"한라산을 마주한, 곰을 닮은 노송" [천연기념물 제441호 제주 수산리 곰솔 (濟州 水山里 곰솔)] 곰솔은 나무껍질이 검기 때문에 흑송(黑松)이라 하기도 하며, 바닷가에 많이 자라므로 해송(海松)
barongl.tistory.com
천연기념물 제주 비양도 호니토
"제주 비양도 호니토"
제주 비양도 호니토&먹거리
"신비스런 용암굴뚝" [천연기념물 제439호 제주 비양도 호니토 (濟州 飛楊島 호니토)] 비양도는 현무암과 현무암질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져있다. 현무암의 근원은 비양봉 분화구이며, 분출의 형
barongl.tistory.com
해산물 난전과 용두암
돌하르방과 용두암
시도기념물 용두암 해변의 아침
'멋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석구석 제주도(에필로그) (0) | 2020.10.02 |
---|---|
구석구석 제주도(관광) (0) | 2020.10.02 |
구석구석 제주도(프롤로그) (0) | 2020.10.02 |